개발동기 및 목적
개발동기
기존 재생에너지의 현황 및 보완점
As is 재생에너지 상황1992년 이후 태양광 풍력 등 그린 재생에너지 5배 증가
- 풍력 태양광 재생에너지의 임의적 간헐적 운전으로 덕커브 현상 강화
: 전력망 시스템 불안전성 증가 - 기저발전인 (석탄, 석유, LNG 등) 탄소소비형 발전소로 보완
- 탄소중립화 제로화에 역행 등 근본 문제 해결 불가능


- 동북아 다국적 전력망 상호보완 불가능
: 유럽 내 인접국 전력망 상호보완 가능 - 독립성과 안정성을 갖춘 재생에너지 기저발전시스템 이 요구됨
개발목적
To-Be 재생에너지 기저발전으로 해양에너지가 유일한 대안

공간활용의 극대화
조류발전 재생에너지 개발의 접근방식과 상용화 방안


수평축 조류발전 | 횡류수차 조류발전 | |
---|---|---|
기준 총면적 | 3,083㎡ | 3,083㎡ |
블레이드 면적 | 1,018㎡ | 1,819㎡ |
면적 백분율 | 33% | 59% |
면적 비율 | 1.0 | 1.79 |
* 출처 인하대학교 조철희 교수팀 논문
: 해수유동 치모의를 활용한 조류에너지 잠재량 산정연구 (수평축 조류발전기 기준)를 일부 참조

